마비노기는 왠지 하다보면 그냥 켜놓고 잠수 타는 때가 많아지는 게임인 것 같습니다.
켜놓고 일을 하거나 다른 게임을 한다던가 유튜브를 본다든가... 아무튼 그냥 잠수 태워놓다가 왠지 캐릭터를 가만히 냅두는게 뭔가 아쉬워서 찾다보니 낚시를 하게 되었습니다.
돈을 벌 수 있는 낚시터는 여러 곳 있지만, 드랍률이 너무 극악이라서 의미가 없는 낚시터 말고 작지만 소소하게 수입이 생기는 낚시터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마비노기에서 돈 버는건... 남들이 귀찮아 하는 걸 한다던가(제작 공정이 많다든가, 채집이 어렵다든가), 쉽게 얻을 수 없는 던전 보상을 득한다던가 하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낚시 자체로는 큰 돈을 버는게 거의 힘듭니다. 그래서 나는 낚시를 주력으로 해서 돈을 벌겠다!! 하는 생각은 안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그냥 저처럼 잠수 탈 때, 캐릭터 놀리는게 아까울 때 겸사겸사 하는 느낌으로만 하시는게 좋습니다.
* 에린 시간 밤에, 수동으로 해야 효율이 좋은 별 낚시는 제외합니다.
자동목차
낚시 준비물
필요한 아이템 | 종류 / 습득 방법 |
낚싯대 | 아이템 피싱 W22 (추천) 낚싯대 |
미끼통 | 별미 미끼통 (추천, 던바튼 잡화점 아르바이트로 획득 or 유저간 거래) - 입질 시간 낮춰줌 미끼통 |
낚시 의자 | 성장 가이드 보상 (추천) 경매장 구매 |
낚시통 |
낚시통 교환권으로 습득 (교역 100만 두카트 or 유저간 거래) - 100칸 튼튼한 낚시통 교환권 습득 (유저간 거래) - 300칸 |
낚시 관련 2차 타이틀 |
스페셜 금색의 살림꾼 피르안 (에린의 정기, 거불) 셰넌 얼음 낚시꾼(이벤트, 거불) 모리코 니시다의 낚시 동료 아나스타시아/Re:제로 케모노 프렌즈 |
낚시 강화 장비 | 아도니스 세트 |
물개 펫 | 샤말라에게 폰으로 구매 펫 키트 시즌 마일리지 '고양이와 물개 그리고 쥐 타입 상자'에서 획득 동물 캐릭터 분양 메달로 유저간 거래 |
거창하게 많아보이는데, 사실 전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낚싯대 + 별미 미끼통, 낚시통 (인벤 안 터지려면 필수) 이렇게 3개가 일단 낚시하는데 필요한 템이고, 나머지는 전부 자동 낚시 성공률에 관한 준비물입니다.
현재 밝혀진 자동 낚시 성공률은
자동 낚시 성공률 | |
낚시 1랭크 | 70% |
메이킹 마스터리 1랭크 | 10% |
낚시 의자 | 10% |
낚시 관련 2차 타이틀 | 10% |
아도니스 세트 (수치 10 달성시) | 10% |
물개 펫 | 10% |
위와 같습니다.
따라서, 스킬 2개만 1랭크가 찍혀 있다면 자동 낚시 성공 확률이 기본 80% 이므로
낚시 의자 / 2차 타이틀 / 아도니스 세트 / 물개 펫 4개 중 2개만 챙겨주면 됩니다.
낚시 의자가 제일 얻기 쉬우니 일단 필수로 사용합니다. (성장 가이드 - 생활 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션은 무지개 송어 5마리 낚기 입니다. 이멘마하 낚시 추천.)
2차 타이틀은 대부분 콜라보로 풀려 현재는 매우 비싸기 때문에 가지고 있던 걸 쓰시는게 아니라면 낚시 하나만 바라보고 구매 하시는 건 비추입니다. (콜라보가 아닌 타이틀도 마일리지 상자에서 나오기 때문에 가격이 기본 n천만단위입니다.)
아도니스 세트도 생각보다는 비싸서 저는 패스하고, 전에 이벤트로 받은 폰으로 물개 펫 구매 + 펫키트깡으로 나온 꽝 펫 몇 마리를 핀 싱크해서 시간을 늘려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저는 이렇게 해서 낚시의자 10% + 물개 펫 10% 으로 100%를 만들어 낚시중입니다.
낚시는 주력 돈벌이가 아니라 잠수 태울 때 겸사겸사 하는 거기 때문에 성공률을 꼭 100퍼 채우지 않아도 되고, 각자 주머니 사정에 맞춰서 세팅 하시면 됩니다.
소소한 돈벌이 낚시 추천 장소
스쿠압틴
G23 진행 중 올 수 있게 되는 맵입니다. G23을 진행하며 얻는 전용 아이템 <파도의 나침반>으로 이동 가능.
소소한 득템 | |
스쿠압틴에서만 획득 가능 | 촉촉한 섬유 뭉치, 찢어진 해도 |
물고기 | 라노산 연어, 킹 크랩, 청새치 |
장비 | 재기드 미니 스커트 |
스쿠압틴에서 낚시를 하는 주된 이유는 촉촉한 섬유 뭉치 때문입니다.
학회 퀘스트에서 요구하고, 촉촉한 섬유 뭉치를 모아 다른 재료들과 함께 가공하면 파댜루루 인형 가방을 만들 수 있어 경매장에서 수요가 있습니다.
라노산 연어도 학회에서 요구하는 요리의 밑재료라서 경매장에서 수요가 있고, 청새치는 카브 항구의 일일 퀘스트 요구 템이라서 쓸모가 있습니다.
저는 라노산 연어를 펫 인벤에 모아놨다가 어느정도 쌓이면 한 번에 다이어트 연어 샐러드로 가공을 해서 팝니다. (A등급 학회 후원 재료)
킹 크랩의 경우 npc가 팔기도 하고 그 자체로는 그다지 가치가 없지만, 킹 크랩을 이용한 요리를 실패해서 킹 크랩 껍질을 만들어서 팔면 좀 더 높은 값을 받을 수 있습니다. 킹 크랩 껍질이 재료로 들어가는 본 마린 아머(남성용) 학회 후원 퀘스트에 필요해서 수요가 있는 편입니다.
찢어진 해도는 거래가 불가능 하지만 스쿠압틴에서 일일 퀘스트 재료로 쓰여서 모아두면 편하게 모험가의 인장을 모을 수 있습니다.
재기드 미니 스커트는 수리해서 풀 내구도일 경우 7만 7700골드나 하므로 낚아서 버리지 말고 프리시즌에 수리해서 상점에 갖다 팔면 깡 골드가 들어옵니다. 나름 쏠쏠합니다.
아이템 피싱을 사용하는 기준으로 다른 잡템을 제외하고 유효 보상 중 많이 낚이는 비율은
찢어진 해도 > 촉촉한 섬유 뭉치 > 청새치 > 라노산 연어 > 킹 크랩 > 재기드 미니 스커트 인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청새치도 일퀘로 쓴다고 죄다 인벤토리로 옮겨서 보관했는데, 낚시를 할수록 너무 많이 낚여서 저는 그냥 다 갖다 파기하고 있습니다.
인벤토리만 넉넉하다고 하면 핸디 크래프트로 못쓰게 된 허브 10개 + 잡 물고기 + 물이 든 병을 재료로 흑색 염료를 만들어서 팔면 좋습니다. C등급 학회 후원 재료라서 나름 쏠쏠하게 팔립니다. 단, 흑색 염료는 핸디 크래프트라 1개씩만 제작 가능하고 2*2의 크기에 겹치지도 않아서 인벤토리와 경매장을 어마어마하게 잡아먹기 때문에 적당히 만들어서 올려두시는게 좋습니다.
어선
라노 해변 야금지 마나터널에서 갈 수 있는 어선입니다.
'선원 지망생' 1차 타이틀을 달고 npc 머딘에게 '어선에 간다'는 선택지를 선택하면 갈 수 있습니다.
'선원 지망생' 타이틀은 배를 10번 타면 얻을 수 있습니다. (매우 귀찮음)
타이틀 획득 참고 : https://mabinogi.shimplace.com/helper/gboard/1/113/
선원 지망생 타이틀 획득 및 어선 가기 - 마비노기 쉼플레이스
이리아 라노 지역에서 배를 타고 어선을 가기 위해서는 "선원 지망생" 타이틀이 필요합니다. 타이틀은 카브 항구와 켈라 항구에서 배를 타고 10회 이동하면 획득할 수 있습니다.
mabinogi.shimplace.com
교역을 좀 하신 분들이라면 굳이 노가다 안 해도 이미 있으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소소한 득템 | |
어선 낚시로만 습득 가능 |
이상한 무늬가 새겨진 유물 조각 |
물고기 | 라노산 연어, 킹 크랩, 청새치 |
장비 | 재기드 미니 스커트 |
어선에서는 G23 1부를 끝낸 후 받는 퀘스트인 '벨바스트 수해 복구'에 필요한 이상한 무늬가 새겨진 유물 조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벨바스트 수해 복구 공헌도를 많이 채우면 파댜루루 인형 가방을 얻을 수 있어서 경매장에서 은근 거래가 됩니다.
가격도 촉촉한 섬유 뭉치보다 더 비쌉니다.
다만 직접 해본 결과 촉촉한 섬유 뭉치보다도 좀 더 확률이 낮은 느낌이라서... 수익은 비슷비슷 할 것 같습니다.
특이한 점은 낚시를 하다보면 던전 보상 상자 같은 상자가 바닥에 나오는데, 클릭하면 몹이 젠되고 쓰러트리면 몹의 조각같은 걸 얻을 수 있습니다...만 잠수하는 우리와는 전혀 상관 없는 일입니다.
그 외에는 스쿠압틴과 어선은 드랍 테이블이 같은 건지 나머진 비슷합니다.
아본
G13 햄릿을 진행하면 올 수 있는 맵입니다.
소소한 득템 | |
아본 낚시로만 습득 가능 |
옷본 - 로즈마리 장갑 희곡 페이지 (색바랜, 브론즈, 실버, 골드) |
종이 | 종이, 종이학, 빤짝이 종이 |
스킬북 | 코르 명상법 - 초급 - (메디테이션 A→9랭크) 어느 효자 이야기 - (요리 8→7랭크, 거래 불가) 사례로 알아보는 건강한 삶의 비결 (휴식 8→7랭크 스킬북) |
아본엔 옛날부터 유-명한 물욕 템이 있습니다.
바로 로즈마리 장갑 옷본입니다.
이 로즈마리 장갑 옷본은 일단 확률이 극악이라 소소한 득템의 목표는 아니고, 우리의 득템 목표는 희곡 페이지와 빤짝이 종이입니다.
일단 골드 희곡 페이지는 그랜드 마스터 미션 입장에 필요한 재료이기 때문에 수요가 있는 편입니다.
색바랜, 브론즈, 실버, 골드 골고루 다 나오는데 골드 밑으로는 싹 다 가공해서 골드로 올려서 파시거나 쓰시면 됩니다.
저는 아본 하드 미션에서 트리니티 세트가 떨어진다는 얘기를 듣고, 노리고 돌아볼까 했지만 확률이 극악이라고 하기에 그냥 파는걸로 합의했습니다.
희곡 페이지 드랍률은 낚은 걸 보니 진짜 정직하게 색바랜 > 브론즈 > 실버 > 골드 순의 드랍률인 것 같습니다.
빤짝이 종이는 교역 물물교환의 재료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경매장에서 꾸준히 거래가 됩니다.
합성으로도 만들 수 있지만 재료 중 하나인 작은 녹색 구슬이 연금술사 아르바이트로 쓰기도 하기 때문에 낚시로 낚으면 좋습니다. 팔거나 직접 물물 교환을 하신다면 재료로 쓰시면 됩니다.
아본 낚시의 장점은 물고기나 잡다한 장비들이 안 낚여서 미끼통 300개를 다 쓸동안 낚시통이 터지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장비가 나오긴 하는데 스쿠압틴, 어선보단 덜합니다. 그 둘은 100개짜리 낚시통을 쓰면 금방 낚시통이 터져서 인벤토리가 엉망진창이 되는데, 아본은 그에 비하면 인벤이 깔끔하게 유지돼서 좋습니다.
그 외에
그 외에 벨바스트나 티르코네일, 카브 등도 있지만 저는 이 셋만 돌아가며 낚시하기 때문에 굳이 넣지 않았습니다.
티르코네일(민물 거대 육식 어류), 카브(악기의 심장 울림통)는 운빨 득템 하나만 보고 낚시 하는 거기 때문에 하나 더 넣는다면 벨바스트가 좋을 것 같긴 합니다.
* 벨바스트 낚시 : 오언 제독이 부탁한 상자 (일일 퀘스트 재료), 청새치, 바닷가재, 벨바스트 장어
필요한 템이 드랍되는 곳이나 마음이 끌리는 곳 아무데나 가셔도 좋지만, 절대 비추하는 곳은 스카하 낚시입니다.
사유 : 낚시시 일정 확률로 몹이 딸려 올라오기 때문에 낚시도 못하고 몹에게 뚜들겨 맞을 수 있음 (잠수에 최악!) + 유일한 득템이던 코르 명상법 -중급- 가격도 예전 같지 않음
게임이 고여서 뉴비가 없어서 그런지... 요샌 비싼 스킬북들은 다 인장으로 해결해서 그런지 스킬북 낚시는 효율이 별로인 것 같습니다.
잠수러분들 다들 낚시로 소소하게 득템하시길 바랍니다.